현대로템, 美 '쉴드AI'와 협력…유·무인복합 무기체계 경쟁력↑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이정엽 현대로템 부사장(왼쪽)과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이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로템 현대로템이 방산 부문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ADEX(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 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전장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임무 기술을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적용할 계획이다. 현대전은 드론을 활용한 적군 조기 탐지와 게릴라전 확대 등 전선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비선형 전투'가 확산되는 추세다...
기사 본문
미래戰 인공지능 기반 유·무인복합체계 경쟁력 차세대 지상무기 탑재 드론, 체계통합기술 내재화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현대로템이 방산 부문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MOU는 쉴드AI의 한국 독점 파트너사인 퀀텀에어로를 통해 진행됐다. MOU는 전장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둔다. 현대전은 드론을 활용한 적군 조기 탐지와 게릴라전 확대 등 전선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비선형 전투’가 확산되는 추세다. 현대로템은 쉴드AI가 공급하는 AI 기반 자율전투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인...
기사 본문
이정엽(왼쪽) 현대로템 부사장과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이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현대로템 제공 [파이낸셜뉴스] 현대로템이 차세대 지상무기에 드론을 탑재한다. 현대로템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는 전장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둔다. 현대전은 드론을 활용한 적군 조기 탐지와 게릴라전 확대 등 전선의 구분이 모호...
기사 본문
미래戰 AI 기반 유·무인복합체계 기술 경쟁력 확보 차세대 무기 탑재 드론부터 체계통합기술 내재화 이정엽(왼쪽) 현대로템 부사장과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이 23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로템 [서울경제] 현대로템(064350) 이 방산 부문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 현대로템은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미국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전장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무기체계에 적용하...
기사 본문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이정엽(왼쪽) 현대로템 부사장과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이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로템 제공 현대로템은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인공지능(AI) 설루션 업체인 '쉴드AI'와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해당 MOU를 기반으로 쉴드AI가 공급하는 AI 자율전투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를 활용해 무인체계의 자율전투 임무수행 기술을 단계적으로 연구·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ME는 자율임무 수행기술을 개발하는 도구로, 전장 상황 인식과 정보공유, 자율 판단·통제, ...
기사 본문
차세대 지상무기 라인업에 드론 탑재…군집제어 고안 현대로템-쉴드AI MOU 체결(현대로템 제공)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현대로템(064350)은 미국 인공지능(AI) 설루션 업체 쉴드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방산 부문 AI 기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협약은 지난 2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진행됐다. 이번 MOU는 전장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 위협에 대응할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둔다. 현대전은 드론을 활용한 적군 조기 탐지와 게릴라전 확대 등 전선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비선형 전투가 확산하는 추세다. 현대로템은 쉴드AI가 공급하는 AI 기반 자율전투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인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를 활용해 무인체계의 자율전...
기사 본문
쉴드AI의 자율전투 SW 'HME' 활용해 MUM-T에 자율임무 기술 적용 계획 이정엽(왼쪽) 현대로템 부사장이 2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ADEX 2025'에서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마이크 한린 쉴드AI 글로벌 전략 및 사업개발 총괄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로템 제공 현대로템이 차세대 지상 무기에 인공지능(AI) 기반 드론 탑재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미국 AI 솔루션 업체인 쉴드AI와 손잡고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로템은 전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쉴드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이번 MOU를 통해 우선 차세대 지상무기 라인업에 자율임무 수행이 가능한 드론을 탑재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전차·장갑차·다목적 무인차량 등 지...
기사 본문
현대로템은 어제(23일)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미국의 AI 솔루션 업체 쉴드(Shield)AI와 '국방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은 비선형적 전장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임무 기술을 현대로템의 차세대 유·무인복합(MUM-T) 지상무기체계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대로템은 쉴드AI의 AI 자율전투 소프트웨어 플랫폼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 Hivemind Enterprise)를 활용해 무인체계의 자율전투 임무수행 기술을 단계적으로 연구개발(R&D)하고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쉴드AI의 HME는 인간 개입 없이 플랫폼 간 협업과 임무 분담이 가능한 자율임무 수행 기술을 구현하는 도구로, 전장상황 인식·정보 공유·자율 판단 및 통제·협력 타격 등 MUM-T 무기체계 운용의 핵심 기능에 최적화돼 있습니다. 현재 이 기술은 미국과 호주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