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말 은행 대출 연체율 0.61%… 2개월째 상승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2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4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 8월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0.57%)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은행 대출 연체율은 지난 6월 분기말 연체채권 정리 영향으로 0.52%까지 떨어진 바 있으나, 2개월째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월 중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8000억원으로 전날보다 2000억원 늘었다. 하지만 신규 연체 규모가 2조9000억원으로 정리 규모를 넘어서면서 연체율이 올랐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달(0.67%)보다 0.06%포인트 올랐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전달보다 0.07%포인트 오른 0.89%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5%로 전달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은 0.30%로 전월 말보다 0.01%포인트 올랐으며,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92%로 0.06%포...
기사 본문
한국은행 금리 인하 ‘보류’…연체율 0.6% 돌파, 자영업자·중소기업 부실화 가속 연체액 2조9000억원, 배드뱅크로 부채정리 나서지만 도덕적 해이 논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부동산 시장의 혼란으로 한국은행이 3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대출이 있는 가계와 소상공인, 중소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대출 금리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부담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61%로 전월(0.57%)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달(0.53%)과 비교하면 0.08%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연체율이 0.6%대를 돌파한 것은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이후 처음이다. 8월 한 달간 새로 발생한 연체액만 2조9000억원에 이른다. 신규 연체율은 0.12%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고, ...
기사 본문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 /사진=박준한 기자 국내 은행의 연체율이 올 8월부터 다시 상승했다. 특히 8월에만 3조원에 육박하는 규모의 연체액이 발생하면서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0.57%) 대비 0.04%p 상승했다. 전년 동월(0.53%)보다도 0.08%p 높다. 특히 8월 한 달 동안 새로 발생한 연체액은 2조9000억원에 달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1조8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000억원 늘었지만, 신규 연체 규모를 따라잡지 못했다. 정리 속도보다 빠른 연체 확산이 전체 지표 상승으로 이어진 셈이다. 가계보다 기업, 특히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연체율 상승 폭이 더 컸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0.67%) 대비 0.06%p 올랐다. 대기업은 0.14%에서 0.15%로 미세한 변화에 그쳤지만, 중소기업은 0.82%에서 0.89%로 0.07%p 뛰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
기사 본문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층이 늘면서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에서 20·30대 연체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뉴스1 국내 은행 연체율이 오름세인 가운데 특히 20·30대 청년층에서 연체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액을 빌리는 인터넷은행 신용대출이나 취약계층을 위한 불법사금융 예방대출조차 갚지 못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61%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0.08%포인트 올랐다. 2022년 한때 0.24%까지 떨어졌던 연체율은 2023년 0.4%대, 지난해 0.5%대에 이어 올해 0.6%대까지 올라서며 3년째 상승 추세다. 정근영 디자이너 연령별로 보면 특히 젊은 층에서 문제가 두드러진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상반기 기준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20대 가계대출액 규모는 34조5660억원으로 전 연령 중 가장 적었지만, 연체율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