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로보틱스, 1800억 투자 유치…'AI 로봇' 개발 나선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HD현대로보틱스의 산업용 로봇/사진=뉴스1 HD현대의 로봇전문기업 HD현대로보틱스가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HD현대로보틱스는 24일 KDB산업은행 및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KY PE와 18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산업은행과 KY PE는 9.1%에 해당하는 HD현대로보틱스 지분을 확보하게 됐다. 앞서 HD현대로보틱스는 2020년 KT로부터 5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당시 5000억원으로 평가받았던 기업가치는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 1조8000억원으로 증가해 5년만에 약 4배 상승했다. HD현대로보틱스는 지난 40년간 유지해 온 국내 로봇 시장 매출 1위 기업으로서의 위상과 회사가 보유한 우수한 인공지능(AI) 기술 역량 덕분에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KDB산업은행은 국내 로봇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이번 투자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KDB산업은행은 '국민성장펀드' 조성 ...
기사 본문
KDB산업은행 국민성장펀드 조성 일환 기업가치 1조8000억원…5년만에 4배 증가 피지컬 AI 기반 핵심 기술 개발에 자금 투입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HD현대로보틱스는 KDB산업은행 및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KY PE와 18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양 기관은 HD현대로보틱스 지분 9.1%를 확보하게 됐다. KDB산업은행의 이번 투자는 국민성장펀드 조성을 통한 국가 첨단전략 산업 지원의 일환에서 이뤄졌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HD현대로보틱스 기업가치는 1조8000억원으로 평가됐다. 이는 2020년 KT로부터 5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할 당시 5000억원에서 4배가량 상승한 수치다. HD현대로보틱스는 “40년간 유지해온 국내 로봇 시장 매출 1위 기업으로서의 위상과 AI 기술 역량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HD현대로보틱스는 투자 유치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피지컬(Physical) AI 기반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 ▷해외 시장 확대 ...
기사 본문
산은·KY PE 1800억 투자해 지분 9.1% 확보 AI 로봇 개발·해외시장 진출 등에 활용 [서울경제] HD현대(267250) 로보틱스는 KDB산업은행 및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KY PE와 18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산업은행과 KY PE는 9.1%에 해당하는 HD현대로보틱스 지분을 확보한다. 앞서 HD현대로보틱스는 2020년 KT로부터 50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당시 5000억 원으로 평가됐던 기업가치는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 1조 8000억 원으로 급증하며 5년 만에 4배 가까이 성장했다. KDB산업은행은 국내 로봇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투자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KDB산업은행은 ‘국민성장펀드’ 조성 등을 통해 국가 첨단전략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HD현대로보틱스는 투자 유치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피지컬 AI 기반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 △해외 시...
기사 본문
AI 로봇 개발·해외 시장 확대·인재 유치 기업가치 5년 만 4배 상승 HD현대로보틱스가 출시한 차세대 산업용 AI 로봇 제어기 'Hi7'. HD현대로보틱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HD현대의 로봇전문기업 HD현대로보틱스는 24일 KDB산업은행 및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KY PE와 18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산업은행과 KY PE는 9.1%에 해당하는 HD현대로보틱스 지분을 확보하게 됐다. 케이와이성장투자사모투자1호합자회사 600억원을 조달하고, 산업은행과 KY PE가 공동 프로젝트펀드를 조성해 나머지 금액을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HD현대로보틱스는 지난 2020년 KT로부터 5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당시 5000억원으로 평가받았던 기업가치는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 1조8000억 원으로 증가, 5년 만에 약 4배 상승했다. HD현대로보틱스는 이번 투자 유치의 성공 요인을 40년 간 유지해 온 국내 로봇 시장 매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