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 직구 '핼러윈 복장' 52% 안전기준 부적합...화재에도 취약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해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핼러윈 복장 중 국내 안전 기준에 못 미치는 제품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복장 제품 17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9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습니다. 3개 제품은 내분비계 교란 우려 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발암 물질인 납이 기준치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아담스 가족' 복장의 손 장식물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600배 넘게 검출됐습니다. 또 6개 제품은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작은 부품을 포함하고 있는데도 필수인 경고 표시가 없었습니다. 화염전파속도 실험에서는 3개가 국내 기준보다 최대 1.5배나 빠르게 화염이 전파됐고, 3개 제품은 불꽃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경고 문구도 없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앞으로도 해외직구 아동 제품에 대한 안전 점검을 강화해 유해 제품의 국내 유통을 차단할 방침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기사 본문
해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일부 어린이 코스튬 의상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다는 소비자원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절반 가량인 9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고 오늘(24일) 밝혔습니다. 코스튬은 행사·공연·파티에서 주로 착용하는 특징적인 의상을 뜻합니다. 소비자원은 ‘어린이제품 공통안전기준’ 등 국내 안전기준을 근거로, 유해물질과 물리적 안전성, 가연성 등 세 가지 항목의 안전성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결과, 17개 제품 가운데 3개 제품에서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또는 납이 검출됐습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국내 안전기준이 0.1% 이하인데, 플라스틱으로 만든 머리띠에선 19.815%, 인조가죽 장갑에선 40.865%, 손 장식물에선 62.401%가 각각 검출됐습니다. 국내 안전기준을 최대 624배 초과한 겁니다. 특히 한 코스튬의 경우 프탈...
기사 본문
17개 제품 중 3개에서 국내 안전기준 초과하는 유해 물질 검출 화염전파속도 시험에서도 국내 기준 부적합 충북 음성군 한국소비자원 전경(소비자원 제공)/뉴스1 ⓒ News1 이철 기자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용 코스튬 일부에서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24일 한국소비자원이 핼러윈데이를 앞두고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9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했다. 이들 가운데 3개 제품에서는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납이 검출됐다. 유해 물질이 검출된 제품은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여아용 녹색 팅커벨 드레스, 코스튬 요정 코스프레, 꽃 아기 공주 옷, 크리스마스 파티 복장(Princess Bebe Store) △여자를위한 고딕 의상 댄스 파티 드레스 2024 Wensday 블랙 파티 공 가운 어린이 할...
기사 본문
유아용 녹색 팅커벨 드레스. 알리익스프레스 화면 캡쳐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구입하는 어린이용 파티 드레스나 코스튬 의상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 한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해외직구 플랫폼(알리 익스프레스, 테무)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코스튬 17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52.9%(9개)가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고 밝혔다. 국내 안전기준에 따르면 어린이가 삼킬 수 있는 작은 부품은 제품의 사용 연령에 따라 포함 금지(36개월 미만)하거나 포함 시 경고 표시(36~72개월 미만)를 해야 한다. 하지만 조사대상 17개 중 35.3%(6개)는 작은 크기의 반지, 귀걸이 등을 포함하거나 경고 표시가 없어 어린이가 삼킬 경우 질식 등의 우려가 있었다.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납 등 유해물질 검출 유해물질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17개 제품 중 17.6%(3개)에서 국내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