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美 고용 둔화는 이민 감소 탓… 급격한 침체 가능성 작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최근 미국 고용 감소의 주된 원인이 이민 감소에 있다고 한국은행이 분석했다. 한은은 앞으로 이민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작아 급격한 고용 침체 우려는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 / 한국은행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부문 취업자 수는 작년 한 해 월평균 16만8000명 늘었지만, 올해 1분기에는 11만1000명으로 둔화했다. 5~8월 중에는 2만7000명에 그쳤다. 연구진은 이러한 고용 감소의 45%가량은 추세적 이민 감소와 이민제한 정책으로 나타난 노동공급 축소가 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관세정책의 기여도는 40%, 연방 공무원 감축(DOGE)은 8% 정도로 각각 추정된다. 일자리가 없어 고용지표가 나빠졌다기 보다는 일할 사람이 없었다는 얘기다. 항목별로 따지면 순이민 감소로 1~7월 경제활동인구가 약 38만 명 줄었다. 이 중 20만 명은 자연 감소...
기사 본문
한은,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現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 발표 美 고용감소 45%는 이민 감소 때문…관세·공무원 감축 뒤이어 내년 상반기까지 실업률 완만 상승 전망…급격한 침체 가능성 낮아 관세정책·연방공무원 감축, 고용수요 하방압력으로 작용 “美고용, 글로벌 경기·연준 스탠스에 결정적 변수 될 것”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 사진=로이터통신 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한국은행은 그 배경을 '수요 둔화'보다 '공급 제약'에서 찾았다. 한은은 올해 미국 고용감소의 약 45%는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 축소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파월 연준 의장이 언급한 고용 둔화는 공급 요인의 영향이라는 평가와 궤를 같이한다. 최근 미국 취업자 수 증가폭이 크게 줄면서 노동시장 침체 우려가 커진 가운데 그 배경을 둘러싼 해석은 고용 둔화가 경기 위축에 따른 노동수요 약화 때문이라는 견해(수요둔화론)와 이민 감소 등...
기사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반 이민정책에 항의하는 미국시민자유연맹등 인권단체의 시위대의 모습.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올해 미국 고용 감소의 약 절반이 트럼프 이민 제한 정책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전반적 노동시장 수급 상황이 양호하고, 최근 순이민 규모가 트럼프 1기 수준까지 떨어진 만큼 미국 고용시장이 심각하게 침체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다. 24일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취업자 수 증가 규모(전월 대비)는 2024년 월평균 16만8000명에서 올해 1·4분기 11만1000명으로, 5∼8월 중 2만7000명으로 감소했다. 이같은 고용 하방 우려에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9개월 만에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한국은행 제공. 시장에서는 고용 둔화에 대해 기업의 노동 수요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라는 '수요 둔화론'과 이민 감소 등 노동 공급 제약이 원인이라는 '공급제약론'의 분석...
기사 본문
한국은행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 보고서 이민 감소가 45% 차지…노동 공급 축소 핵심 관세 정책 40%, 공무원 감축 8% 차지 실업률, 내년 상반기까지 완만하게 상승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올해 미국 고용 감소의 절반가량이 트럼프 정부의 이민 제한 정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와 연방공무원 감축도 일부 영향을 주었지만, 핵심 원인은 ‘이민 감소’다. 다만, 앞으로 추가적으로 이민이 더 줄어들 가능성은 낮아, 급격한 고용 침체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AFP 이민 감소가 절반, 관세와 공무원 감축도 한몫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現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월평균 16만 8000명이던 미국 비농업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2025년 1분기 11만 1000명으로 줄었고, 5~8월에는 2만 7000명 증가에 그쳤다. 고용 하방 리스크에 대응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달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