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시중 유동성 증가폭 역대 2위

2025년 10월 1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6개
수집 시간: 2025-10-15 12:55:4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서울경제 2025-10-15 12:01:14 oid: 011, aid: 0004543498
기사 본문

■한은 통화 및 유동성 9월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화폐수납장에서 관계자들이 추석 화폐 공급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울경제] 8월 시중 통화량이 5개월 연속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증시 상승과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 등이 맞물리면서 전년 동월 대비 8%를 넘는 증가율을 보이는 등 유동성 확대 속도가 한층 가팔라졌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25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8월 M2(광의통화·평잔)는 전월보다 55조 8000억 원(1.3%) 늘어난 4400조 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월(58조 4000억 원 증가) 이후 가장 큰 증가폭으로 역대 2위 기록이다. 증가세는 5개월 연속 이어졌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8.1% 늘어나 2022년 7월(8.3%)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예금,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등을 포함한 시중 유동성 지표다. 한은은 “최근 증시 상승세에 따라 주식형 상장지...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15 12:01:16 oid: 015, aid: 0005196913
기사 본문

소비쿠폰 뿌리자 통화량 3년 만에 최대 증가 부동산 자극 우려 사진=연합뉴스 지난 8월 통화량(M2)이 지난 2022년 이후 약 3년만에 최대 규모로 증가했다. 채권 등 수익증권에 자금이 몰린 데다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재정자금도 큰 폭으로 늘었다. 통화량 증가에 따른 부동산 시장 자극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8월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M2는 4400조2000억원(평잔 기준)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55조8000억원 증가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4400조원을 돌파했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1.3%로 지난해 3월(1.5%) 이후 1년 5개월만에 최대였다.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하면 통화량 증가율은 8.1%(원계열 기준)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7월 8.3%를 기록한 이후 3년 1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M2에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등이 포함된다. 상품별로 보면 수익증권이 전월에 비해 12...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5 12:00:00 oid: 003, aid: 0013535770
기사 본문

9월 M2, 55.8조 늘어난 4400.2조원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원화를 정리하고 있다. 5월 시중 통화량(M2)이 두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며 4279조 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상승폭은 2024년 3월(+1.5%) 이후 가장 크다. 전년대비 증가율은 6.5%를 기록했다. 2025.07.15.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8월 시중 통화량(M2)이 56조 원 증가하며 다섯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잔액은 4400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채권형을 중심으로 수익증권이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증시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이 컸다. 여기에 지방정부 재정집행 자금 일시 예치 등 일시적 요인도 가세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25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올해 8월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대비 55조8000억원(1.3%) 증가한 440...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15 12:01:10 oid: 123, aid: 0002369846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8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 수익증권,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정기예적금 증가 기업, 가계 및 비영리단체, 기타금융기관, 기타부문 모두 증가 M1 평잔 1312.8조원…전월대비 1.5%↑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25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에 의하면 8월 광의통화(계절조정계열, M2 평잔 기준)는 4400조2000억원으로 전월대비 55조8000억원 늘어 1.3% 증가했다(7월 0.8%→7월 8월 1.3%).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8월 통화량은 수익증권,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및 정기예적금 등이 늘며 전월대비 55조8000억원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25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에 의하면 8월 광의통화(계절조정계열, M2 평잔 기준)는 4400조2000억원으로 전월대비 55조8000억원 늘어 1.3% 증가했다(7월 0.8%→7월 8월 1.3%). 원계열은 전년동월대비 8.1% 늘었다(7.1%→8.1%).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