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동산 시장 과열, 수요 관리와 함께 주택 공급 확대에 총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구윤철(왼쪽에서 두 번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주택 공급 확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주재한 시장상황정검회의에서 “최근 부동산 시장은 과열 양상을 보여 수요 관리와 함께 공급 애로 해소를 신속히 추진하겠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시장상황점검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추경 효과, 소비 심리 개선 등으로 내수가 회복세로 반전되고 수출도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면서 “경기가 개선 흐름인 가운데 상법 개정,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등 정책 효과와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 등으로 외국인 매수가 유입되며 코스피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국내 금융시장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
기사 본문
[조유빈 기자 you@sisajournal.com] 한은총재·금융위원장·금감원장과 시장상황점검회의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부동산은 과열 양상"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은 총재, 구윤철 부총리, 이억원 금융위원장 ⓒ기획재정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외환시장 변동성이 지속된 것과 관련해 "국제금융시장 등 대외 여건을 24시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 시 적기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24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미중 무역갈등, 프랑스·일본 등의 재정·정치 리스크 등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외환시장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한미 관세협상 등을 둘러싼 불확실...
기사 본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최근 미·중 무역갈등, 프랑스·일본 등의 재정·정치 리스크 등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오전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국제금융시장 등 대외 여건을 24시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적기 대응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최근 미·중 무역갈등과 한·미 관세협상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23일 장중 한때 원·달러 환율이 1440원선을 웃도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최근 경기 상황에 대해 “추가경정예산 효과,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내수가 회복세로 반전하고 수출도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이는 등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
기사 본문
구윤철 부총리, 시장상황점검회의 개최 추경·소비심리 개선에 경기 반등세 지속 부동산 과열엔 공급 확대·수요관리 병행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월 2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외환시장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24시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적기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열고 국내외 금융·부동산 시장 동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추가경정예산 효과와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내수가 회복세로 반전하고, 수출도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이는 등 경기 전반이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상법 개정,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아웃 제도 등 정책 효과와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외국인 매수가 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