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격 없는데, 중국은 한화오션 왜 제재했나…시진핑 방한 전 주가 요동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오늘의포인트 (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정인섭 한화오션 사장이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국제 사이버안보 행사 '사이버서밋코리아 2025'에 참석해 손뼉치고 있다. 2025.9.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한화오션이 15일 코스피시장에서 상승하면서 중국 제재발 급락분을 일부 만회하고 있다.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에 가해진 중국 정부의 제재가 별다른 타격을 안기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받으면서다. 미중 갈등이 강화될 경우 중국 조선업의 글로벌 입지가 약해지면서 한화오션이 수혜를 입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이날 오전 11시45분 한화오션은 전일 대비 2.91% 오른 10만6100원에 거래됐다. 앞서 한화오션은 전날 중국 상무부의 제재 발표 여파로 인해 5.76% 하락한 10만3100원에 장을 마쳤다. 한화오션은 이날에...
기사 본문
미·중 갈등 유탄 맞은 K-조선 ‘긴장’ 당장 피해는 제한적이지만 불안 확산 조선 이어 반도체·車로 제재 확대 가능 재계 “국익 위해 정부 적극 대응 필요” 미국과 중국이 서로 선박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등 해운·조선업 분야에서 갈등을 빚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겨냥한 제재 조치를 발표했다. 사진은 한미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상징으로 부상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한화 필리조선소 모습 [한화오션 제공] 중국이 돌연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이를 두고 미국과 중국 사이 재점화된 통상 갈등의 유탄을 한국이 맞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이 자국산 선박에 부과된 미국의 입항 수수료에 대한 반격으로 미국 내 조선소를 보유한 한화오션을 타깃을 삼은 셈인데, 결과적으로 우리나라가 미·중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상황을 맞게 됐다는 것이다. 다행히 이들 회사들은 중국과 직접적인...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월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미국 해양청이 발주한 국가안보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State of Maine)’호의 명명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중국 정부가 한·미 조선협력 중추인 한화오션을 제재한 것과 관련해 일본 언론이 “미·중 대립이 제3국으로 번졌다”며 “일본 기업에도 리스크”라고 우려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5일 중국 상무부가 전날 한국 한화오션의 미국 내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고 전하면서 이같이 표현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 정부가 ‘무역법 301조’를 근거로 중국 조선업의 불공정 무역 관행 여부를 조사하는 데에 한화오션 자회사들이 협력했다는 점을 제재 이유로 들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닛케이는 그러면서 “일본 또한 조선 분야에서 미국에 협력할 방침을 세우고 있어, 일본 기업이 (중국의) 제재를 받을 위험이 있다”며 “미·중 양국과 깊은 경제 관계를 맺은 일본 정부와 기업...
기사 본문
희토류 고리 압박 가능성 정부차원 해법 모색 시급 중국이 한화그룹 조선·해운 분야 미국 자회사를 겨냥한 제재 조치를 내리자 국내 산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속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실행 주체인 조선업체에 이어 한·미 경제동맹의 상징으로 떠오른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으로 중국의 노골적인 ‘한국 때리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이 ‘샌드위치’ 신세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정부 차원에서 서둘러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미국 소재 한화그룹 자회사 5곳(한화 필리조선소·한화쉬핑·한화쉬핑홀딩스·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HS USA 홀딩스)을 제재하겠다는 방침을 전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이들 자회사가 미국 정부의 ‘대중 무역법 301조 조사’에 협조하고 지지해 중국의 주권과 안보, 이익에 해를 끼쳤다는 점을 제재의 명분으로 내세우며 중국 내 조직·개인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