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증권 "HD현대일렉트릭, 북미·유럽 실적 성장 지속…목표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목표주가 기존 80만원→97만원 상향 [서울=뉴시스] HD현대일렉트릭 CI. (사진=HD현대일렉트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지민 기자 = LS증권은 24일 HD현대일렉트릭에 대해 3분기 북미 및 유럽시장에서의 폭발적 성장을 이뤄냈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80만원에서 97만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HD현대일렉트릭의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9954억원, 영업이익은 247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6%, 51% 오른 수치다. 성종화 LS증권 연구원은 "대호조 지속과 함께 회사의 전망치 대비 부합한다"며 "3분기 영업이익률은 24.8%로 100억원 정도의 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분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특히, 전력기기 부문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성 연구원은 "전력기기 부문 매출은 5878 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의 폭발적 성장을 시현했다"며 "수익성이 가장 높은 북미시장 전력변압기(초...
기사 본문
영업익 2471억…전년비 51%↑ 북미 호조에 연간 수주 목표 근접 유럽 수주 잔고도 매출 본격 반영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전력기기 사업 호조세를 이어갔다. 북미 중심의 견조한 수요에 힘입어 연간 매출과 수주 목표 초과 달성이 기대된다. HD현대일렉트릭(267260)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9954억원, 영업이익 2471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6.2%, 영업이익은 50.9% 증가하며 호실적을 나타냈다. 주요 해외시장의 변압기와 국내 시장 내 고압차단기 매출이 늘어나며 전력기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7.7%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전력기기 및 회전기기의 수익성 확대로 24.8%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20.4% 이후 올해 1분기 21.5%, 2분기 23.1%에 이은 꾸준한 상승세다. HD현대일렉트릭 3분기 실적 요약.(자료=HD현대일렉트릭) 3분기 수주액은 12억...
기사 본문
[특징주] 머니투데이,특징주,삽화,일러스트,증권부 /사진=임종철 HD현대일렉트릭이 올해 3분기 호실적으로 장 중 52주 최고가를 찍었다. 4일 한국거래소 코스피에서 이날 오전 9시23분 현재 HD현대일렉트릭은 전 거래일 대비 2만6000원(3.49%) 77만2000원 거래되고 있다. 앞서 77만900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전날 올해 3분기 매출 9954억원, 영업이익 247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26.2%, 영업이익은 50.9% 증가했다. 주요 해외 시장의 변압기와 국내 시장의 고압차단기 매출이 늘어나며 전력기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7.7% 증가했다. 특히 유럽 시장 매출은 수주 잔고가 매출로 본격적으로 전환되며 76.1% 늘었다. 이날 BNK투자증권은 앞으로도 전력 인프라 호황의 수혜를 입을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90만원으로 기존(64만원) 대비 40.6% 상향했다. 이상현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
기사 본문
HD현대일렉트릭 CI.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BNK투자증권은 24일 HD현대일렉트릭에 대해 3·4분기 역대 분기 최고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며, 안정적인 매출 증가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64만원에서 90만원으로 올렸다. 이상현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HD현대일렉트릭의 3·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9954억원, 영업이익 은 2471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비 각각 26%, 51% 증가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컨센서스(시장 전망치) 영업이익 대비로도 5%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특히 3·4분기 영업이익률은 24.8%로 역대 분기 최고 수익성을 시현했다"며 "이러한 실적은 전력기기 매출의 큰 폭 성장과 수익성이 좋은 북미향 프로젝트들의 납품이 매출로 반영된 결과"라고 강조했다. HD현대일렉트릭 우호적인 시장 환경 속 지속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력 인프라 산업은 미국의 초대형 AI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