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전기차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고 있다. 지난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청북도와 협력하여 충주 오창에너지플랜트에서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공식적으로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국내 배터리 업계의 중요한 진출로이며,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결정은 미국 완성차 업체들의 중국산 부품 및 배터리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테슬라와 GM 등은 최근 중국산 부품을 배제하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생산 전기차에 중국 기반 공급망을 활용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협력사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완성차 업체들을 위한 대체 공급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7년부터 1GWh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며,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생산 거점은 중국, 미국, 유럽에 이은 네 번째 LFP 생산 기지로,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LFP 생산 체제를 4각 체제로 완성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게 되었다.

이번 투자는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소재, 부품, 장비 등 국내 LFP 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의 조 단위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 시장 참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국내 ESS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